우리 인간이 다른 생명체 보다월등한 진화를 가져온 것은
엄지손가락의 자유로운 진화와무엇이든 표현할 수 있는 언어의 발달 때문이다.
사실 소리 내어 표현하지 않고
문서로만 주고받는 형식의 커뮤니케이션은한계점에 부딪힌다.
그래서 시대가 변화하고 문화가 발달할수록
또한 선진국으로 갈수록 능숙한 토론과 스피치를 중요하게 다루는 것이다.
이렇게 인간의 빠른 진화를 가져다 준 것이 말이지만
우리는 누군가를 만나서 얘기하다보면
상대의 수준이 너무 낮아서 대화가 더 이상 어려운 상황을 접하게 된다.
그 맞지 않는 수준 때문에 부부관계와 친구관계,
모든 인간관계가 불협화음이 끊이지 않는 불편한 삶을 살게 된다.
그래서 인간관계에 있어서불협화음을 최소화하고
내가 조금 더 발전할 수 있는 길이바로 내 의식을 바꾸는 일이다.
쉽게 말해서 내 의식수준을 조금 더 높여야 된다는 것이다.
데이비드 호킨스박사의 의식혁명이라는 책을 보면
언어를 넘어선 최고경지의 수준을 1,000으로 보고
우리 인류가 지향하는 의식수준의 기준점이 200이라고 한다.
이 기준점은 긍정적 사고와 부정적 사고의 경계에 해당되며용기의 수준이다.
200의 용기수준은 다른 사람의 안녕과 행복
그리고 어느 정도의 지각능력을 지녔다고 보고있다.
이 200의 용기수준이 우리 지구상의 인간 중 15%에 해당되고
이 15%의 막강한 힘에 의해서 변화되고, 발전되고 있다는 것이다.
의식수준 1,000에 해당되는 인물은 예수,
석가모니 간디는 700이고
600 이상은 성인에 해당되며
아인슈타인 499점이다.
700~1,000의 수준은 깨달음이고, 언어를 넘어선 경지
600의 수준은 평화이며 축복, 자유
540의 수준은 기쁨이며 거룩함
400~500의 수준은 사랑, 기쁨이고 존경, 이해, 행복
350의 수준은 포용이고 용서, 관대함
310의 수준은 자발성이고, 낙관, 힘찬 긍정
250의 수준은 중용이고 신뢰, 해방감
200의 수준은 용기이고 긍정
175의 수준은 자존심이고 경멸
150의 수준은 분노이고 미움, 충격적임
120의 수준은 욕망이고 갈망
100의 수준은 두려움이고 불안, 긴장, 의심
75의 수준은 슬픔이고 외로움, 울적함
50의 수준은 무기력이고 우울함, 절망적
30의 수준은 죄의식이고 자포자기, 죄의식
20의 수준은 수치심이고 수치스러움, 굴욕적인 삶이다.
그런데 지구상 85%의 대부분 사람들이
200이하 라는 부정적인 삶을 살고 있다는 것이다 .
하지만 머리가 우수하고 학문을 많이 탐구했다고 해서
의식수준이 높은 것은 절대 아니다.
무학의 소유자도 사람의 따라서 의식수준이 경지에 이룰 수도 있다고 한다.
그렇다면 우리가 잘 아는법정스님과 같은 사람은 과연 어느 정도에 해당될까?
또 내 자신의 의식수준은 어느 정도일까?
200이 될까? 안될까?
사실 이 의식수준을 몰랐을 때는 괜찮았는데
이 내용을 접하고서 부터는누군가와 얘기할 때
내 의식수준을 고민해보지 않을 수 없었다.
왜냐하면 수준이 낮을수록 내 마음, 내 행동들이 남들에게 다 보이기 때문이다.
내 낮은 의식수준을 좀 더 높이기위해서는
높은 의식수준을 가진자와 가까이 해야 된다고 한다.
또 최고의 의식수준들이 써 놓은 책을 가까이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고 한다.
지금까지 있었던 잘못된 모든 커뮤니케이션은
낮은 의식수준에서 비롯됐다는 생각을 가지고
좀 더 나의 의식수준을 높게 지닐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야 할 것이다.
수준높은 내 의식이 있어야만 비로소 나를 바꿀 수 있고
목표하는 바를 이룰 수 있을 것이다.
지금의 내 의식 수준은?